예종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종은 조선의 제8대 왕으로, 세조와 정희왕후의 둘째 아들이다. 1450년에 태어나 형 의경세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1468년 세조의 선위로 19세의 나이에 즉위했다. 재위 기간은 1년 2개월로 짧았으며,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과 훈구파의 영향으로 왕권이 약화되었다. 남이의 난, 일본과의 무역 금지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1469년 1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능은 창릉이며, 왕위는 그의 아들이 아닌 조카 성종에게 승계되었다. 예종의 생애는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세조의 자녀 - 덕종 (조선)
조선 덕종은 세조의 장남이자 성종의 아버지로,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9세에 요절하였으며, 그의 죽음은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여러 논란을 낳았고, 후에 아들 성종의 즉위로 추존되었다. - 조선 세조의 자녀 - 덕원군 (왕족)
세조와 근빈 박씨 사이에서 태어난 덕원군 이서는 세조의 총애를 받으며 10세에 덕원군에 봉해졌고, 효심이 지극하며 성리학과 예법에 밝아 유종이라 칭송받았던 조선의 왕족이다. - 15세기 한국의 군주 - 성종 (조선)
성종은 조선의 제9대 국왕으로, 세조의 손자이자 덕종의 아들이며 예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을 거쳐 친정 후 홍문관 설치, 경국대전 반포 등 조선의 통치 체제 확립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폐비 윤씨 사사 사건과 서얼 차별 강화는 비판받기도 한다. - 15세기 한국의 군주 - 세조 (조선)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으로서,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 1469년 사망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1469년 사망 - 프라 필리포 리피
프라 필리포 리피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마사초의 영향을 받아 종교화를 현실적으로 묘사했으며, 프라토 대성당의 프레스코화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남겼다.
예종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이황 (I Hwang) |
별호 | 해양대군 (Haeyang Daegun) |
묘호 | 예종 (Yejong) |
시호 | 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 (Yangdo Heummun Seongmu Uiin Sohyo Daewang) |
출생 | 1450년 1월 1일 (음력) |
사망 | 1469년 11월 28일 (음력) |
능묘 | 창릉 (Changneung)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 300-91 |
아버지 | 세조 |
어머니 | 정희왕후 윤씨 |
즉위 정보 | |
목록 | 제8대 조선 국왕 |
즉위일 (수강궁) | 1468년 9월 7일 (음력) |
즉위 장소 (수강궁) | 수강궁 중문 |
즉위일 (경복궁) | 1468년 9월 7일 (음력) |
즉위 장소 (경복궁) | 경복궁 근정전 |
재위 기간 | 1468년 9월 7일 ~ 1469년 11월 28일 (음력) |
전임 군주 | 세조 |
후임 군주 | 성종 |
왕세자 정보 | |
작위 | 조선국 왕세자 |
재위 기간 | 1457년 12월 15일 ~ 1468년 9월 7일 (음력) |
전임 왕세자 | 의경세자 (덕종) |
후임 왕세자 | 왕세자 융 (연산군)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장순왕후 한씨 안순왕후 한씨 |
자녀 | 3남 2녀 |
친자녀 | 인성대군 제안대군 현숙공주 혜순공주 |
양자 | 성종 |
출생과 사망 | |
출생 장소 | 조선 한성부 수양대군 저택 |
사망 장소 | 조선 한성부 경복궁 자미당 |
묘호 및 시호 | |
묘호 | 예종 (睿宗) |
시호 | 조선: 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 (Heummun Seongmu Uiin Sohyo Daewang) 명나라: 양도 (Yangdo) |
2. 생애
1450년 세조와 그의 정비 정희왕후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7세 때 형인 의경세자가 갑작스럽게 죽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468년 아버지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19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으나 병약했기 때문에 어머니 정희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당시 정치적 결정은 정희왕후와 세조가 지명한 한명회, 신숙주 등 세 명의 신하가 내렸다.
재위 기간은 14개월로 짧았지만, 1468년 남이 역모 사건과 1469년 민수의 사건등이 있었다. 1469년 사망 직전 조선은 일본과의 모든 무역을 금지하기 시작했고, 군사들에게 속한 토지를 일반 농민들이 경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세가 되기전 사망하여 두 번째 부인인 안순왕후와 함께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오릉에 안장되었다.[2] 묘는 창릉(昌陵)이다.[3]
예종 사후 왕위는 그의 아들인 제안대군에게 계승되지 않고, 그의 조카이자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인 자산군이 왕위를 계승하였다.[4]
예종의 두 아들인 인성대군과 제안대군은 모두 자식 없이 사망했다. 1874년 고종 재위 시절, 세종대왕의 증손인 서성부정 이옹(1487~1510)이 인성대군의 후사로 추봉되었고, 정종(조선)의 증손인 이파(1515~1571)도 낙풍군에 봉해져 제안대군의 후사가 되었다.[5][6][7][8]
2. 1. 탄생과 세자 책봉
1450년(세종 32년) 1월 1일, 세종의 둘째 아들인 왕자 수양대군과 낙랑부대부인 윤씨(정희왕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세조가 왕위에 오른 뒤 '''해양대군'''(海陽大君)에 봉해졌으며, 형인 의경세자가 1457년(세조 3년) 9월에 훙서하자 같은 해 12월 왕세자로 책봉되었다.1460년(세조 6년) 한명회의 딸 한씨(장순왕후)를 세자빈으로 맞이하였다. 그러나 세자빈 한씨는 1461년(세조 7년) 11월 30일, 원손 인성대군을 낳고 며칠 뒤 산후병으로 요절하였다. 3년상을 마친 후인 1463년(세조 9년) 새로이 세자빈을 맞이하지 않고 간택 후궁인 한백륜의 딸 소훈 한씨(안순왕후)가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2. 2. 즉위와 치세
1468년(세조 14년) 9월 7일, 병환이 깊어진 세조의 선위로 수강궁(壽康宮) 중문(中門)에서 19세에 즉위하였다. 상왕으로 물러나게 된 세조는 다음날인 8일에 승하했다. 즉위는 했으나 어머니 정희왕후가 수렴청정을 했는데 이는 조선왕조에서 행한 최초의 수렴청정이었다.[11] 또한 선왕 세조가 만든 원상제도가 시행되어 실권은 없었고, 사실상 정책을 결정한것은 한명회, 신숙주 등 훈구파들이었다.[11]예종 즉위 직후 1468년에 남이의 옥 사건이 일어났다. 1469년에는 삼포(부산포, 염포, 제포)에서 일본과의 개별 무역을 금지하였고, 병영에 딸려 있는 논과 밭을 일반 농민들이 농사지을 수 있도록 하였다. 매관매직을 통해 공신들이 전횡을 일삼자 분경(奔競)을 금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다.[12][13]
예종의 치세 동안, 남이 장군의 난(1468년)과 민수의 사건(1469년) 등이 있었다. 또한 1469년, 상인 이길생이 일본 상인 시난이라를 속인 사건이 발생하여, 미우라에서의 대일 사무역(직물과 식량의 매매는 제외)을 금지하였다.
2. 3. 사망
1469년 12월 31일 (음력 11월 28일) 진시(辰時, 오전 7시~9시)에 자미당(紫薇堂)에서 승하하였다. 사인은 봉와직염의 악화로 인한 패혈증으로 추정된다.[2] 묘호는 예종 자신의 유지에 따라 '''예종'''(睿宗)이며, 시호는 '''흠문성무의인소효'''(欽文聖武懿仁昭孝)이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창릉이다.[3]예종이 승하한 당일, 왕대비였던 정희왕후의 명으로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예종의 양자로 입적되어 왕위에 올랐다.[4] 이는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한명회 등의 정치적 결탁으로 인한 결과였다. 왕위 계승 서열 첫 번째인 원자(예종과 안순왕후의 아들)는 3살로 나이가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두 번째인 월산대군은 병약하다는 이유로 후계자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원자는 제안대군으로 봉해졌으며, 평원대군(세종과 소헌왕후의 일곱번째 아들)의 후사로 입적되었다.
3. 능묘
서오릉 중 하나인 창릉에 안장되었으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다. 계비인 안순왕후와 합장되었다.[2]
4. 가족 관계
예종은 2남 2녀를 두었다. 장순왕후에게서 인성대군을, 안순왕후에게서 제안대군과 현숙공주, 혜순공주를 얻었으나 인성대군과 혜순공주는 요절하였다. 안순왕후에게서 얻은 다른 왕자 1명 역시 요절하였다. 후궁으로는 공빈 최씨, 상궁 기씨, 후궁 이씨가 있었다.[9]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정실 | 장순왕후 | 1445년 3월 3일 | 1462년 1월 14일 | 한명회의 딸, 사후 추존 |
안순왕후 | 1445년 4월 27일 | 1499년 2월 12일 | 한백륜의 딸 | |
후궁 | 공빈 최씨 | 1454년 | ? | 최도일의 딸, 자녀 없음 |
상궁 기씨 | ? | 1489년 | ||
후궁 이씨 | ? | ? | 사헌감찰 이의생의 서출 딸[9] | |
아들 | 인성대군 이분 | 1461년 12월 31일 | 1463년 12월 4일 | 장순왕후 소생 |
제안대군 이현 | 1466년 3월 8일 | 1526년 1월 6일 | 안순왕후 소생 | |
딸 | 현숙공주 | 1464년 3월 28일 | 1502년 7월 2일 | 안순왕후 소생 |
혜순공주 | 1468년 | 1469년 | 안순왕후 소생 |
4. 1. 부모
4. 2. 왕비
4. 3. 후궁
4. 4. 왕자
예종은 세조와 정희왕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7] 아버지는 세조(1417년~1468년)이며, 할아버지는 세종(1397년~1450년), 할머니는 소헌왕후(1395년~1446년)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1418년~1483년)이며, 외할아버지는 윤번(1384년~1448년), 외할머니는 인천 이씨(1383년~1456년)이다.예종의 첫 번째 부인은 장순왕후(1445년~1462년)로, 한명회의 딸이며 1461년에 사망하였다. 장순왕후와의 사이에서 인성대군(1461년~1463년)을 낳았다. 두 번째 부인은 안순왕후(1445년?~1499년)로, 한백륜의 딸이다. 안순왕후와의 사이에서는 현숙공주(1464년~1502년), 제안대군(1466년~1525년), 혜순공주(1468년~1469년)와 요절한 왕자 1명을 두었다. 그 외 후궁으로는 공빈 최씨(생몰년 미상), 상궁 기씨(?~1489년), 후궁 이씨 등이 있었다. 후궁 이씨는 사헌감찰 이의생의 서출 딸이다.[9]
군호 |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인성대군 | 분(糞) | 1461년 - 1463년 | 장순왕후 | ||
제안대군 | 현(琄) | 1466년 - 1526년 | 안순왕후 | 상산부부인 김씨, 승평부부인 박씨 | |
▨▨대군[17] | 미상 | 안순왕후 |
4. 5. 왕녀
5. 예종이 등장하는 작품
다음은 예종이 등장하는 작품들이다.
- 드라마
- * 1984년 MBC 《설중매》 (배우: 한영수)
- * 1994년 KBS 《한명회》 (배우: 문혁, 변성현)
- * 1998년 ~ 2000년 KBS 《왕과 비》 (배우: 이영호)
- * 2007년 SBS 《왕과 나》 (배우: 유동혁)
- * 2011년 ~ 2012년 JTBC 《인수대비》 (배우: 노영학, 양온유, 김준성, 박준목)
- * 2017년 영화 《임금님의 사건수첩》 (배우: 이선균)[10]
- * 2021년 KBS2 《연모》 (배우: 이필모)
5. 1. 드라마
- 《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 한영수)
- 《한명회》 (KBS, 1994년, 배우: 문혁 / 아역: 변성현)
- 《왕과 비》 (KBS, 1998년~2000년, 배우: 이영호)
- 《왕과 나》 (SBS, 2007년, 배우: 유동혁)
-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 노영학 / 아역: 양온유, 김준성, 박준목)
- 《연모》 (KBS2, 2021년, 배우: 이필모)
- 《임금님의 사건수첩》 (영화, 2017년, 배우: 이선균)[10]
5. 2. 영화
2017년에 개봉한 이선균 주연의 영화 임금님의 사건수첩에서 예종을 다루고 있다.[10]참조
[1]
논문
Women's Life during the Chosŏn Dynasty
https://ijkh.khistor[...]
2024-01-17
[2]
웹사이트
Royal Tombs; Seooreung, Onreung, Seosamneung
http://jikimi.cha.g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06-05
[3]
웹사이트
Royal Tombs; Seooreung, Onreung, Seosamneung
http://jikimi.cha.g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06-05
[4]
뉴스
https://www.ikoreans[...]
2014-02-21
[5]
웹사이트
무안대군파 권15(撫安大君派 卷之十五)
http://visualjoseon.[...]
[6]
웹사이트
도평군파 권1(桃平君派 卷之一)
http://visualjoseon.[...]
[7]
웹사이트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2783책 (탈초본 130책) 고종 9년 12월 4일 갑인 19/34 기사
http://sjw.history.g[...]
[8]
웹사이트
http://visualjoseon.[...]
[9]
서적
조선왕조실록
[10]
웹사이트
王様の事件手帖
https://moviewalker.[...]
2019-03-28
[11]
서적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1996
[12]
서적
사화로 보는 조선 역사
석필
1998
[13]
서적
조선 왕을 말하다 (1)
역사의아침
2011
[14]
문서
공빈최씨묘
[15]
서적
성종실록
1489-03-16
[16]
서적
세조실록
1463-12-21
[17]
서적
예종실록
1468-11-28
[18]
문서
임사홍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